초저가 마케팅, 중국발 커머스 플랫폼의 한계
안녕하세요, AMPM Global 광고퍼포먼스3팀 이가람AE입니다.
요즘 가장 핫한 커머스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과연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요?
중국에서 태어난 쇼핑 앱, 알리와 테무의 등장으로 커머스 시장이 긴장하고 있습니다. 모바일인덱스 Insight가 제공한 데이터에 따르면, 모든 앱을 통틀어 2023년 11월 신규 설치 건 순위 1위가 테무였고, 2위가 알리익스프레스였습니다. MAU 기준으로도 알리익스프레스는 500만, 테무는 235만을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 중이라고 하는데요.
흥미롭게도 알리와 테무의 국내 진출 전략이 유사하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가장 먼저 쿠팡이나 다이소를 넘어설 만큼 "초저가" 전략을 내세우고 있고 그에 반해 막대한 마케팅 비용을 사용하고 있죠. 알리익스프레스는 무려 마동석이라는 국민 배우를 섭외해 인지도를 상승시키고, 테무는 "메타를 먹여 살리고 있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올 정도로 엄청난 광고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고 해요.
그렇다면 이들이 이토록 한국 시장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 때문인데요. 새로운 돌파구로 한국 시장에 눈을 돌린 것으로 보입니다. 더불어 이와 같은 중국의 커머스 서비스가 성과를 거두기 시작하자, 국내 커머스 서비스들과 유통업계가 긴장하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죠. 과연 알리와 테무는 국내 시장에 큰 충격을 주고, 국내 기업들을 몰아내며 자리매김하게 될까요?
알리와 테무는 세 가지 약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①초저가 전략의 한계
이들이 공략할 수 있는 상품군과 더불어 그 상품군을 초저가로 판매하는 전략의 약점과 한계가 너무나도 뚜렷합니다. 해외 직구 서비스다보니 신선식품은 취급이 불가하다보니 오히려 이를 역이용하는 유통사가 증가하고 있다고도 하죠.
②가품 논란
최근 알리에서는 가품 판매는 물론이고 사기 피해 사례마저 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사례가 축적되다보면 플랫폼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고, 결국 소비자들은 소비를 멈추거나 제한된 소비만을 하게 되겠죠. 안 그래도 상품군이 한정적인데, 더욱 한정적이게 될지도 모릅니다.
③물류비 부담
지금 당장은 엄청난 가격적인 우위, 초저가 전략 덕분에 짧게는 2주, 길게는 한 달이 넘는 불편한 배송 경험에도 고객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데요. 하지만 물류비 부담은 결국 한계에 부딪히게 될 것이라는 걸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알리는 이에 따라 물류 기지를 확보해 배송 서비스를 보완할 계획이라고 하며, 테무 역시 공격적인 물류 투자를 시작한 만큼 언젠가는 해외 시장에서도 이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다만 이렇에 물류에 투자를 많이 하게 되면 가격적인 메리트는 점차로 줄어들게 되겠죠.
이디야 커피는 런칭 초기 저가 커피로 시장에 뛰어들었다, 매장 수가 늘어나며 점차로 가격이 오르게 되었는데요. 그래서 현재는 새로운 저가 커피 브랜드와 프리미엄 브랜드 사이에서 모호한 포지션을 가지게 된 것처럼, 알리와 테무의 위치 역시 애매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알리와 테무는 아직 해결해야할 숙제가 많습니다. 발견된, 그리고 앞으로 발생할 문제를 해결해야만 성공적으로 국내 시장에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그 전에는, 국내 시장이 크게 긴장하고 두려워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다음에는 더 좋은 인사이트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마케터의 다른 글
<바이럴마케팅 실행 3년차의 노하우 대공개>
<마케팅 전략>
<마케팅 트렌드>
브랜드 신뢰도, 지속적인 구매를 유도할 전략이 필요하다면
'새로운 다이소몰' 이커머스 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
<네이버 검색광고>
네이버 파워링크, 너도 나도 하는데 효과는 다른 이유①
네이버 파워링크, 너도 나도 하는데 효과는 다른 이유②
구글 검색광고 VS 네이버 검색광고 어느 쪽이 효율적일까?
<디스플레이 광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