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에서 펀드 투자가 가능해진다? 금주의 마케팅 이슈!
안녕하세요, AMPM Global 광고퍼포먼스3팀 이가람AE입니다.
금주의 마케팅 이슈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카카오뱅크에서 펀드 투자가 가능해진다?
1월 16일, 카카오뱅크는 펀드 판매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카카오뱅크의 첫 자체 라이선스 기반 투자 서비스로, 어렵게만 느껴지던 펀드 투자를 이제는 쉽고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 건데요. 펀드 운용성과 위험통계지표 등을 검토해 6개의 공모 펀드 상품을 엄선하였고, 주로 선진국 기업과 아시아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 미국 배당 주식과 채권 펀드, 금 상장지수 펀드, 미국 채권 위주 펀드, 공모주와 국공채 투자 펀드가 있습니다.
가입 절차도 카카오뱅크답게 무척 간단하고, 또 위트있는데요.
투자규칙과 금액, 가입내역 요약을 마치 춘식이와 대화를 하는 듯한 인터페이스 안에서 대답하면 가입이 완료된답니다. 또한 나와 비슷한 투자성향을 가진 다른 사람들의 한 달 투자금액이나 평균 수익률 등을 알려주고 또 비교해주므로 보다 즐거운 투자를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객 성향 대비 위험도가 높은 상품은 가입할 수 없도록 제한해두었기 때문에 안정적인 투자성향을 가진 분들은 가입이 거절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허들을 만들어둔 점은 칭찬할 만 하군요.
게다가 우리에게 익숙한 춘식이라는 캐릭터와 이야기를 하는 것처럼 가입과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투자 경험이 적거나 없는 사람들도 이해하기 쉽습니다. 매입, 환매 같은 어려운 금융용어 대신 투자, 출금 등 누구나 알기 쉬운 용어를 사용하는 등 투자상품에 대해 보다 간단하면서도 명확하게 설명하여 오히려 신뢰도를 높이고 위험부담을 줄인 것이죠. 특히나 비대면 투자상품의 경우 내가 상품에 대해 제대로 이해했는지, 위험을 감당할 수 있는지 정확한 판단이 어렵기 마련인데, 카카오뱅크는 해당 부분을 잘 간파했다고 할 수 있겠네요.
2024년의 소비 트렌드는 ‘ZERO’?
고물가의 여파로 불황형 소비 경향이 강해지며 가성비와 가용비를 따지는 소비 트렌드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짠물소비, 알뜰소비의 확산이 유통계를 넘어서 마케팅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건데요.
편의점 CU는 2+1 상품보다 1+1 상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증정 행사 매출 현황을 분석해 소비자의 니즈와 소비 동향 변화에 맞추어, 올해는 증정 행사 상품의 수를 3년 전 대비 50% 이상 늘렸다고 합니다. 이 외에도 상시 초저가 상품과 월별 파격 할인 행사도 진행할 예정이며, 자체 PB 상품을 내세워 초저가 경쟁에 뛰어들 준비를 마쳤다고 하네요. 이마트는 PB인 노브랜드와 피코크 상품을 늘리고, 롯데마트와 슈퍼는 오늘좋은과 요리하다의 라인업을 강화할 예정이며, GS25도 PB 리얼프라이스를 새롭게 기획해 선보이고 있는데요. PB 경쟁에 쿠팡까지 뛰어들며 초저가 경쟁이 심화될 것임을 예고했습니다.
소비가 얼어붙으며 통신비 지출도 줄어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제 비싼 통신료 대신 알뜰폰이 대세가 되어가고 있는 것이죠. 지난 18일, 업계에 따르면 새해 첫 2주 동안 편의점 알뜰폰 유심 매출 신장률은 이마트24 163%, CU 91.2%로 전년 동기 대비 최대 3배 가까이 올랐다고 합니다. 알뜰폰 유심은 온라인에서 등록하는 방식으로 개통이 가능하므로, 편의점에서도 구매가 가능한 효자 품목이라고 하는데요. 이에 따라 편의점들은 특가를 앞세운 알뜰폰 유심 신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다고 하니, 갈아타실 분들은 지금이 기회일지도 모르겠네요!
금융 서비스 토스의 통신 자회사인 토스 모바일에서도 사용량 맞춤 요금제를 출시했다고 합니다.
해당 요금제는 고객이 실사용하는 만큼만 요금을 내야한다는 취지에서 시작되어, 토스 어플리케이션에서 쉽게 가능합니다. 실제로 사용하는 데이터 구간에 따라 납부하는 요금의 수준이 달라지는 방식이라니 참신하지 않나요? 이러한 방식의 요금제는 업계 최초라고 하는데요. 게다가 가격은 최소 9,800원부터 최대 34,800원으로 저렴한 편입니다. 별도 약정도 존재하지 않으며, 자유롭게 요금제 변경과 해지가 가능합니다. 금융 서비스에서 출시한 합리적인 알뜰 요금제는 과연 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게 될까요? 그 귀추가 주목되는 시점입니다.
다음에는 더 좋은 인사이트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마케터의 다른 글
<바이럴마케팅 실행 3년차의 노하우 대공개>
<마케팅 전략>
<네이버 검색광고>
네이버 파워링크, 너도 나도 하는데 효과는 다른 이유①
네이버 파워링크, 너도 나도 하는데 효과는 다른 이유②
구글 검색광고 VS 네이버 검색광고 어느 쪽이 효율적일까?
<디스플레이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