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업종 N사, 검색광고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소개!
안녕하세요, AMPM Global 광고퍼포먼스3팀 이가람AE입니다.
오늘은 뷰티업종, 그 중에서도 헤어 트리트먼트를 판매 중인 광고주분의 검색광고 계정을 분석하고,
문제점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계정은 제가 직접 운영 중인 계정임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해당 계정의 광고주에 대한 간략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KPI: 전환 창출(구체적 ROAS 수치 언급하지 않았으나 100만원으로 1000만원의 효율을 얻고 싶어하심)
* 월예산: 약 1,000,000원
* 현재 집행매체: 네이버 파워링크 / 네이버 쇼핑검색광고 / ADN 네트워크 배너광고
해당 계정은 이전에 직접 광고를 진행했던 업체이며 8월부터 지속적으로 광고를 집행해왔으나 성과 부진으로 인해 이관 받은 곳입니다. 약 1개월 간 광고를 진행한 바, 지난 1개월 간의 데이터 분석과 앞으로의 성과개선 전략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네트워크 배너광고는 집행한지 일주일이 지나지 않아 이번 시간에는 제외하고, 네이버 검색광고 관련해서만 분석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전에는 PC / 모바일 디바이스 구분이 되어있지 않았으며, 특정 키워드의 노출 제한이 걸려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저는 해당 캠페인을 OFF한 뒤 디바이스를 구분한 파워링크와 쇼핑검색광고 캠페인을 새로 생성하였습니다. 아래로는 1개월 간 해당 계정을 직접 운영하면서 발견한 문제점입니다.
①파워링크 데이터 분석
전월(1월)까지 약 60만원 가량 소진, 노출수와 클릭수는 높게 측정되었으나 그에 비해 전환은 전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파워링크 캠페인은 총 4개로, 총 소진비용의 대부분이 메인 키워드군에서 소진되었으며 세부 키워드나 바이럴 키워드에서는 클릭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각각 PC / 모바일 디바이스로 그룹을 나누었고, 구정을 대비한 설 프로모션 그룹이 바이럴 키워드 캠페인 내 새로이 생성되었습니다.
②쇼핑검색광고 데이터 분석
하나의 상품만을 판매하고 있는 업체이므로, 제품에 맞추어 1개의 캠페인을 생성한 뒤 그룹을 세분화하여 운영하였습니다. 가장 유입이 잦은 키워드로의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였고, 각기 다른 노출용 상품명과 소재를 사용하였습니다.
제외키워드를 지속적으로 추가하는 방식을 통해 관리하였으나 헤어트리트먼트 제품을 판매하는 타업체 관련 키워드로의 노출이 잦아 제외키워드 관리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 탓에 품질지수가 2~3칸으로 낮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③기타 분석
스마트스토어 내 전환 수는 어느정도 잡히는 수준이나, 검색광고 내에서의 전환 수는 6건으로 미비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현재 프리미엄 로그분석 권한을 받지 못한 상태라 해당 사항에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알 수 없습니다.
이와 같은 분석들을 통해, 제가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정리해보았는데요.
①파워링크 개선방안
파워링크 내 광고비 소진이 높고, 전환으로 이어지지 않는 메인 키워드군을 OFF 하거나 입찰가를 낮추어 운영하되 브랜드 키워드와 바이럴 키워드는 현재처럼 운용하여 광고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②쇼핑검색광고 개선방안
쇼핑검색광고 내 특정 키워드에서 전환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여러개로 나누어둔 그룹을 축소하고 성과가 나오는 그룹을 집중 관리하도록 하겠습니다.
타 브랜드 관련 키워드의 제외키워드 삭제를 통해 간접적인 추가 인입을 유도하고, 이 외 저효율 키워드를 제외하는 것으로 관리방법을 변경하도록 하겠습니다.
③기타 개선방안
PC 디바이스의 전환 성과가 낮게 측정되어 입찰가중치를 낮추어 운용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는 현재를 유지하여 추이를 살펴보며 관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간단하게 계정 분석과 개선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해보았는데요.
다음 번에는 직접 적용해보고, 얼만큼 성과개선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추가적인 문의사항이나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이가람AE [ 02-6049-4199 ] 를 찾아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