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똑똑한 타겟팅이 성과를 망치는 순간
1. 타겟을 조이면 조일수록, 성과는 흔들릴 수 있습니다
광고주가 흔히 하는 말 중 하나는
“20대 여성 중에서 1인가구, 3개월 내 온라인
구매 경험 있는 사람만 노출해주세요”입니다.
분명 타겟이 명확할수록 효율이 좋아질 것 같지만,
메타 광고에서는 이렇게 세분화된 오디언스가 학습과 최적화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
타겟이 너무 좁으면 광고 노출 자체가 지연되거나 제한됨
-
오디언스 풀(모수)이 작으면 학습 데이터가 부족해짐
- 예산 대비 리치가 적어 CPV, CPC, CPA 모두 올라갈 수 있음
결국, 성과를 내려는 의도가 ‘광고 효율’을 갉아먹는 역설적인 결과를 만들게 됩니다.
2. 메타의 알고리즘은 “자기가 찾게” 해야 합니다
메타 광고의 강점은 정밀 타겟이 아닙니다.
오히려 광범위한 오디언스 안에서 알고리즘이 최적화할 수 있도록 ‘찾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즉, 내가 20명을 정확히 겨냥하는 게 아니라
2000명에게 보여주고 그 중에서 반응하는 20명을 찾아내게 하는 방식이
더 저렴하고 더 안정적입니다.
이때 필요한 건 ‘강한 타겟팅’이 아니라 ‘약한 필터링’입니다.
-
너무 촘촘하게 선별하지 않고
-
적절히 반응할 수 있는 사람들의 흐름을 열어두되
- 전환 데이터를 통해 알고리즘이 고르게 만드는 구조
이게 메타 광고가 성과를 내는 기본 작동 원리입니다.
3. 실제 성과 계정들은 타겟보다 구조가 단순합니다
잘 돌아가는 계정들을 보면 오히려 공통점은 이렇습니다.
-
캠페인 수가 많지 않고
-
광고세트 내 타겟 조건이 많지 않으며
- 전환 목표가 단순하고, 전환 이벤트가 명확하게 수집되고 있음
즉, 성과는 정교한 타겟팅이 아니라, 알고리즘이
안정적으로 최적화될 수 있는 구조에서 나옵니다.
실무적으로는 아래와 같이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
오디언스는 너무 잘게 나누지 않기
-
2개 이상 타겟을 쪼개는 경우에도 세트 간 예산 분산에 유의
-
너무 낮은 일 예산으로 여러 세트를 나누기보단
한 세트에 집중시키고 반응 데이터를 쌓게 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