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비즈니스, 리드폼만 열어두면 안 됩니다
1. 리드폼은 열어두는 순간부터 선별이 시작되어야 합니다
당근 광고의 리드폼
캠페인은
간편하게 클릭 한 번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구조지만,
그만큼 무의미한 리드가 쌓이기 쉬운 캠페인입니다.
광고주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30명 리드가 들어왔는데, 연락받는 사람은 3명도
안 돼요.”
문제는 광고가
아닙니다.
‘아무나 들어와서 남길 수 있는 폼’이 열려 있었기 때문입니다.
2. 질 낮은 리드는 단가가 싼 게 아니라, 전환 가능성이 0에 가깝습니다
아무 질문 없이
이름/연락처만 남기게 하면
-
호기심으로만 들어온
사람
-
진지하지 않은
사용자
- 잘못된 번호/중복 등록 등
수치상
리드는 많지만, 실제 연락이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리드폼은 숫자 맞추는 도구가 아닙니다.
진짜 관심 있는 사람만 ‘골라내는 필터’로 써야 합니다.
3. 폼 안에서 리드를 '거르는 구조'로 짜세요
✅ 질문은 3개 이상 – 선택형 + 주관식 혼합이 효과적입니다
-
"관심 있는 서비스 항목을 선택해주세요"
(선택형)
-
"방문을 고려하고 있는 시점은?" (선택형)
- "기타 요청사항이 있다면 적어주세요" (주관식)
→
이런 질문 구성은 광고만 보고 넘겨온 사람은 자연스럽게 이탈시키고,
진짜 관심 있는 사람만 끝까지 작성하게 만듭니다.
✅ 최종
완료 후 안내 문구 or 자동응답 연결
→ "빠른 상담을 위해 내일 오전 중 연락드릴 예정입니다"
→ 메신저 연동 시 카카오톡 or 문자 자동 발송도 추천
✅ 리드 수집 이후 CRM/시트 연동 필수
→ 리드가 쌓여만 있고 연락 흐름이 끊기면 광고가 아닌 리드폼
세팅 문제입니다
4. ‘성공한 리드폼’은 전환 수보다 후속 흐름이 살아 있는 캠페인입니다
리드폼 캠페인의
진짜 성과는
-
유효 리드 비율
-
첫 연락 응답률
-
실제 전환율
- 리타겟팅 가능 여부
이 네 가지를
모두 점검한 후에야
‘이 캠페인이 잘 돌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리드폼을 연다는 건, 리드를
받는다는 뜻이 아닙니다.
'이 사람은 실제로 우리 상품을 알아보고
싶어 하는가?'
그걸 먼저 묻는 질문이 폼 안에 들어있어야 합니다.
클릭은 누구나
할 수 있어요.
그 중 누가 ‘진짜 행동할 사람’인지는 우리가 설계해야 합니다.
수치가 아니라
흐름을 남기는 폼.
그게 리드 광고의 본질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