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의원 업종 온라인 마케팅의 모든 것
---------------------------------------------------------
<한 줄 요약>
"병의원 업종 = 효율적인 미디어 믹스"
---------------------------------------------------------
준수한 하루 보내세요.
AMPMGlobal
광고 퍼포먼스 3팀 AE 박준수 마케터입니다.
-> 마케터 페이지에서 더 많은 글 보기 <-
▲ 오늘의 준수사항 ▲
'병의원 업종 온라인 마케팅의 모든 것'
병의원 업종 광고주님들께 여쭤보고 싶습니다.
Q. 현재 어떤 광고를 집행하고 계시나요?
.
.
.
브랜드 규모가 있는 병원이라면 다양한 매체를 이미 집행하고 계실겁니다.
하지만, 이제 막 브랜딩을 시작한 업체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또는, 다매체를 집행하고 있지만 효율이 떨어진다면 문제점은 무엇일까요?
그 이유가 궁금하신 광고주님들은
이번 게시글에 꿀팁이 있으니 꼭 필독 부탁드립니다!!
---------------------------------------------------------1. 병의원 업종 광고해야 하는 이유
병의원의 형태는 점차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건강 관리를 목적으로 방문을 하였지만
현재는 건강과 뷰티의 목적으로 방문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건강과 뷰티에 대한 관심사는 특히 젊은 층에서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젊은 층을 '헬스디깅족'이라고 합니다.
헬스(건강)+디깅(탐구)하는 사람을 뜻하는 말입니다.
헬스디깅족은 젊은 세대답게 다양한 매체를 접하며 정보를 습득합니다.
그렇기에 온라인 마케팅을 집행하며 노출+유입을 극대화해야 합니다.
2. 병의원 업종 광고 매체 추천
1) 검색광고(인바운딩 형태)
병의원의 특성상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 바로 '심의필'입니다.
모든 매체에서 '심의필'에 대한 규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심도깊은 운영이 필요합니다.
네이버 파워링크의 경우 병의원은 썸네일을 등록할 수 없으며 문구 역시 허용된 범위 내에서만
등록이 가능합니다.
그렇기에 브랜드의 특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브랜드 검색광고' 집행을 추천드립니다.
브랜드의 장점을 이미지, 설명, 서브링크 등을 통해 노출함으로써
소비자의 유입 장벽을 낮출 수 있어야 합니다.
구글, 다음 매체도 함께 활용하는 것 역시 추천드립니다.
2) 배너광고(아웃바운딩 형태)
메타의 경우 구체적 타게팅 가능합니다.
그렇기에 전환이 일어날 법한 소비자에게 노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GDN의 경우 반응형 디스플레이로 제목, 문구, 사진 등을 등록만 하면
효율 좋은 소재들로 재구성하기에 추천드립니다.
ADN의 온사이트마케팅 또는 키워드 타게팅 가능하기에
효율이 좋은 광고매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광고매체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법
1) 검색광고
- 주요 타게층을 설정하여 예산 집중 분배
- 시간대/키워드/지역별 예산 분배
- 남성의 니즈가 증가하는 추세 -> 남성을 위한 광고그룹 설정
- 자사의 강점을 노출시킬 수 있는 브랜드 검색광고 템플릿 설정
2) 배너광고
- 다매체를 활용한 지속적인 중복 노출 + 브랜드 인지/유입 경로 확보
- 마케팅퍼널별 단계 분리 후 광고 집행 (예: 인지/전환 단계)
- 소재 유형별 테스트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소재별 테스트)
3) 기타제안
- 병의원 업종 특성상 DB를 쌓을 수 있는 방안
- 클로징 패널 : 고객이 이탈 전 시술 문의를 남길 수 있도록 유도
- 홈페이지에 '채널톡' 형성 : 시술 상품에 대한 정보 제공이 가능한 채널톡 설치
---------------------------------------------------------
오늘은
병의원 업종 온라인 마케팅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시대가 변하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소비자들은
건강의 목적과 뷰티의 목적을 갖고 병의원에 방문합니다.
날이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는 병의원 업체에서
광고 성과를 내고 싶은 대표님은
오늘의 준수사항을 준수해주세요.
다음 시간에도
더 재밌고 실속있는 이야기
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AMPM Global
광고 퍼포먼스 3팀 AE 박준수 마케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내선번호 : 02-6049-4221
이메일 : js0718@ampm.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