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2. 캠페인
연결 이후, 다른 캠페인으로 변경하기 위한 신제품검색의 라인 삭제가 가능
한가요?
: 신제품검색
낙찰 이후 캠페인과 연결된 계약은 직접 광고 라인 삭제가 불가합니다.
삭제를
원 하실 경우 업무요청게시판을 통해 관리자에게 요청주셔야 합니다.
내부
관리자가 라인을 삭제하게 되면 해당 계약의 상태는 캠페인 연결 전의 ‘낙찰’ 상태로 변경되며,
라인
삭제 당일 자정까지는 낙찰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때 다른 캠페인과 연결이 가능합니다.
만약
자정이 지날 때까지 캠페인 연결을 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낙찰
포기’ 처리되며, 해당 기간이 위약금 부과 기간일 경우 낙찰금액의 50%가 위약금으로 청구됩니다

Q3. 정기입찰 시의 낙찰가와 재입찰 시의 낙찰가가 다를 수 있나요?
: 정기입찰과 재입찰은 각각 독립적인 낙찰 기준을 갖기 때문에 동일한 회차라도 정기입찰, 재입찰의 낙찰 가가 다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낙찰가는 경쟁 상황이 아닐 경우 시스템 상에서 조회되는 최저입찰가 로 일괄 낙찰되며,
경쟁 상황일 경우에는 낙찰 가능한 최하순위의 입찰가로 일괄 낙찰 됩니다.
예를 들어, 공실 구좌가 무조건 2구좌인 정기입찰 시에는 아래 예시와 같은 낙찰금으로 적용됩니다.
추가로, ‘소재에 관련한 문의’도 많아, 제가 몇 가지 추려 와봤습니다.
Q1. 신제품검색 집행 중에 출시일 180일이 초과되면 광고가 중단되나요?
: 신제품검색에는 노출 개시일 기준으로 180일 이내의 제품을 집행할 수 있으며,
집행 중에 출시일 180일 을 초과하더라도 구매한 회차의 종료일까지 중단없이 노출됩니다.
예를 들어, 11월 6일(월)부터 노출 시 작인 회차에는 180일 전인 5월 10일에 출시된 제품부터 구매가 가능합니다. 이 경우 집행 개시 2일 차 인 11월 7일(화)부터는 출시한지 180일이 지난 시점이지만, 이미 집행 중인 계약이므로 집행 종료일까 지 노출됩니다.
Q2. 출시일을 증빙할 수 있는 자료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랜딩 페이지 상에서 확인 가능한 출시일 정보가 가장 우선시 됩니다.
이 경우 소재 등록 하단의 ‘검토 의견’ 란에 랜딩 페이지 내에 출시일 정보가 있음을 기입해주시면 되고,
혹은 출시일이 확인 가능한 랜딩페이지의 URL을 기입해주시면 됩니다.
만약, 랜딩 페이지 내에 출시일 정보가 명시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의 자료들을 제출하여 증빙 가능합니다.

- 브랜드 소유 사이트 및 SNS 내 출시일 정보 ,
공식 홈페이지 내 출시일을 명시한 페이지 URL 도 가능하고,
브랜드 블로그에 게재한 제 3자의 컨텐츠 내에 명시되어 있는 경우도 활용 가능합니다.
두번째로,
- 매체 보도자료
그리고,
타 기관에서 받은 출시 및 제품 등록 허가 등과 관련된 날짜가 포함된 증빙 문서,
마지막으로,
- 내부 시스템 내 등록된 출고일자 등 ~
출시일 관련 증빙 자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만약, 이러한 증빙 자료가 없는 경우에는 소재 집행이 불가하므로 사전에 확인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자 지금까지 네이버 보장형 디스플레이 광고인 ‘신제품검색광고’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글이었습니다. 도움이 되셨을까요?
이 외에도 구체적으로 말씀드릴 것들이 많이 있지만, 글 한 페이지에 다 담아내기엔 어려워, 일단 이번 글에서는 기초적인 부분만 다뤄봤습니다.
신제품검색광고에 대해 추가적으로 알아보고 싶으시건, 신제품검색광고가 아니더라도 본인이 하시고 있는 광고들의 계정들이 잘 운영되고 있는 것인지 체크해보고 피드백을 받아보고 싶으시다면,
아래에 남겨둔 전화번호나 이메일로 문의 남겨주시면 세세하게 분석해서 피드백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