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인 SA 검색광고 입찰가 조정 - 최소 노출 / 중간 노출
현재 네이버 검색광고(파워링크, 쇼핑검색
등)을 운영하고 계신 광고주 분들이라면 항상 고민이실겁니다. 지금
이 광고비가 맞는지 그래서 좀 더 광고비를 아낄 수 없을까 아니면 확실하게 돈을 쓰고 이어서 확실하게 클릭을 받을 수는 없을까.
이 이야기를 오늘은 검색광고 입찰가로 이야기 하려고 하는데 이에 대해 가장 정리가 잘 된 글이 있어 가져왔습니다.
검색광고 운영은 광고주분들의 상황(예산, KPI, 상품경쟁력 등)에 따라 다르지만 최소 노출 / 중간 노출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최소 노출이란, 과거 4주간
검색을 통해 노출된 광고 중에서 최하위에 노출되었던 광고의 입찰가 중 가장 큰 값이 최소 노출 입찰가입니다.
※ 예시로 꽃배달 키워드로 3번의 검색을 통해 총 12개 광고 노출이 아래 표와 같이 발생했다면
이 때 최하위 입찰가는 검색1은 70,
검색2는 150, 검색3은 100원입니다.
이 값 중 가장 큰 값이 150원임으로 ‘최소 노출 입찰가’는 150원입니다.
최소 노출 입찰가 조회 방법은 광고 그룹에서 키워드를 선택한 후 입찰가를 조회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입찰가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접속 경로: 캠페인 선택 > 광고 그룹 선택 > [키워드] 탭 클릭 > 키워드 선택 > 선택 키워드 입찰가 변경
최소 노출 입찰가 활용 방법
4주 전에 150원으로
입찰을 했다면 입찰 후 4주 동안 검색 결과에 내 광고가 계속 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조회된 최소 노출 입찰가는 이렇게 변경해 보세요.
나의 예산과 노출 목표를 고려하여 최소 노출 입찰가를 기준으로 입찰가를 조정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꽃배달' 키워드와 '꽃배달추천' 키워드를 최소 노출 입찰가로 조회했을 때, '꽃배달' 키워드는 100원으로 입찰하면
34회 클릭에 3,400원의 비용이 예상되지만 비용을 조금 더 쓰더라도 클릭을 더 받아야
하니 100원 보다 높은 금액으로 입찰가를 조정합니다.
'꽃배달추천' 키워드는 150원으로 입찰하면,
2,811회 클릭에 421,650원의 비용이 예상되어 내가 쓸 수 있는 비용보다 많아 입찰가를 150원보다 낮은 금액으로 조정하고 예상 클릭수와 예상 비용을 낮췄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최소 노출 입찰은 4주 전의 과거 데이터이므로 노출을 보장해주지는 않습니다. 검색광고는 실시간으로 타 광고주의 입찰가 변경 광고 ON/OFF 변경 등으로 경쟁 환경이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중간 입찰가 조정
과거 4주간 검색을 통해 노출된 광고의 입찰가를 크기 순으로 나열한 후 중간에 위치한 중앙값이 중간 입찰가입니다.
중간 입찰가의 활용은 보통 최소 노출 / 하위 노출에서 클릭수를 더
높이고 싶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왜냐하면 중간 입찰의 경우도 과거 4주 전의 데이터 이므로 중간 노출을
보장해주지는 않기 때문에 TOP-DOWN 방식의 입찰가 조정보다는 BOTTOM-UP
방식의 입찰가 조정이 보다 유리합니다.
주의점은 중간 노출 입찰가 조회 시 최소 노출 입찰가 보다 높은 상황도 발생하는데 아래와 같이 입찰가 변동이
큰 경우 발생합니다.
이럴 때는 최소 노출을 기준, 최소 노출보다 조금 더 입찰가를 붙여 진행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검색광고 입찰가는 광고주님 상황에 맞게 조정해야한다는 점 기억하시고 전략적으로 다가가야 한다는 점 기억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SA 검색광고 입찰가 최소 노출 / 중간 노출 조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 마케터 더 알아보기 / 무료 컨설팅 받기
https://inside.ampm.co.kr/ae-knadey/?baepo=knad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