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별 매체 광고 운영의 차이점
EC업종의 특징
정의
전자상거래를 의미하며,
인터넷을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사고파는 활동을 포함합니다.
주요 특징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소셜 미디어를 통한 판매, 모바일 앱을 통한 거래 등
다양한 전자적 수단을 이용한 상거래가 특징입니다.
DB업종의 특징
정의
데이터베이스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종을 의미합니다.
이는 데이터의 저장, 관리, 분석 등을 포함합니다.
주요 특징
고객 데이터 관리, 시장 분석, 빅데이터 처리 등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서비스 제공이 핵심입니다.
EC와 DB업종의 주요 차이점
목적의 차이
EC업종은 상품이나 서비스의 온라인 판매에 중점을 두는 반면,
DB업종은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와 활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활용 기술의 차이
EC업종은 전자상거래 플랫폼, 결제 시스템 등의 기술을 주로 활용하는 반면,
DB업종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빅데이터 분석 도구 등 데이터 관련 기술을 활용합니다.
그렇면 매체별로 알아보겠습니다.
네이버
파워링크
네이버 검색창에서 키워드를 검색했을 시 입찰가에 따라 노출되는 광고입니다.
그렇기에 앞서 말씀드렸듯이 확실한 니즈가 있을 때 검색하는 DB업종이 보다 효율이 좋습니다.
클릭당 과금 방식으로 비용이 부과되고 키워드에 따라 입찰가가 상이하기에
DB업종의 경우 고효율 키워드 발굴이 무척 중요합니다.
EC업종은 어떤 광고를 해야할까요?
쇼핑검색
쇼핑검색 캠페인은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 입점되어 있다면 진행할 수 있는 캠페인으로
파워링크와는 다르게 별도의 소재 등록 없이 스마트스토어 내 상품을 소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검색광고
네이버의 비해 구글은 상당히 저렴한 CPC로
DB 업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캠페인 중 하나입니다.
네이버의 경우 DB업종 키워드 CPC는
엄청 높은 편입니다.
1번의 문의량으로 높은 매출을 가져갈 수 있는 DB업종 특성상
자사 홈페이지를 상위 노출 시키기 위해
입찰가가 높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구글 검색광고의 경우 AI 딥러닝 기반의 자동 입찰 전략으로
메인 키워드 등록 시 구글이 알아서 확장 검색해주고 내 키워드와 연관된
게재 지면 및 입찰 비딩을 통해 좋은 지면을 찾아 광고를 게재 해줍니다.
확장 검색으로 인해 불필요한 키워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는 네이버 쇼핑검색처럼 제외 키워드를 잡아주면 됩니다.
EC업종의 경우
GDN
저렴한 가격에 많은 지면 게재로 자사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최대한 많이 노출 시킬수 있습니다.
많은 유저들이 구글에서 검색하고 구글, 크롬을 사용한다고 해도
쇼핑의 경우는 아직까지 네이버 점유율이 1위입니다.
그렇기에 구글에서는 쇼핑 검색광고를
거의 진행하지 않고 GDN 캠페인만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업종별 매체 활용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신 분들께서는
- 언제든지 편하게 댓글, 상담 주시면
- 친절하고 빠르게 답변 도와드리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 AMPM GLOBAL 김희원AE
- 유선전화 : 02 6049 4169
- 이메일 : kho08@ampm.co.kr
- [김희원 마케터가 작성한 글이 궁금하시다면]
- 네이버 검색광고
- 네이버 검색광고가 마케팅의 시작?(기초 세팅편)
- 네이버 검색광고가 마케팅의 시작?(확장 소재편)
- 네이버 검색광고가 마케팅의 시작?(데이터 분석편)
- 쇼핑검색광고 활용하고싶은 분들 주목!
- DB마케팅
- DB마케팅 효율적으로 운영하세요.
- DB마케팅 효율적으로 운영하세요.(구글 GDN편)
- DB마케팅 효율적으로 운영하세요(SNS편)
- 브랜드 마케팅
- 당신이몰랐던 네이버 GFA!
- 플랫폼 입점 브랜드 마케팅 전략
- 사이트 유입과 구매유도를 한번에!(ADN편)
- 사이트 유입과 구매유도를 한번에!(ADN2편)
- 메타 픽셀 설치가 중요한 이유!
- 바이럴 마케팅
- 붕어빵할아버지의 천재적인 바이럴 마케팅
- 고객관리 CRM의 중요성
- 마케팅 기본 세팅과 용어
- SNS 광고 카탈로그 세팅
- 구글 디멘드젠 캠페이란? 효율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