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드 수는 괜찮은데 전환율은 왜 낮을까? 광고 이후 고객 여정 분석 전략

작성자 박준우
작성일 2025.07.21
조회수 48


45dfd77d-4ba0-49e5-bca0-33fe75d4f519.png


많은 DB 업종 광고주들이 "리드는 많이 들어오는데 정작 전환은 없다"고 말합니다. 이 문제는 단순한 광고 효율 문제가 아니라, 광고 이후의 고객 여정(포스트 클릭 퍼널)에서 발생하는 병목 때문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리드 이후 단계에 초점을 맞춰, 어떤 분석과 전략이 필요한지 실무적인 관점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 리드 이후 여정에서의 이탈 구조 파악

광고를 통해 수집된 리드가 실제 전환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여러 단계를 거칩니다. 이 중 어느 단계에서 이탈이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첫 번째 과제입니다.

  • 통화 연결률: 유입된 리드가 전화 연결에 응답하는 비율

  • 상담 전환률: 연결된 리드 중 실제 상담까지 진행한 비율

  • 계약률: 상담 완료 후 실제 구매나 계약으로 이어진 비율

특히 첫 통화 연결률이 50% 미만이라면, 고객이 광고를 보고 남긴 리드임에도 불구하고 관심도가 낮거나 타이밍이 맞지 않았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이탈하는 고객이 많다면, 타겟 설정이나 랜딩페이지 유도 문구를 재검토해야 합니다.


2. 상담 이탈의 주요 원인: 고객 니즈-상품 불일치

광고 소재와 실제 상담 내용 간의 괴리가 크면, 고객은 금방 흥미를 잃습니다. 예를 들어 "3,300원 렌탈" 문구로 유입된 고객이 실제로는 초기 비용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이탈 확률이 급격히 높아집니다. 특히 다음 유형의 괴리는 전환률을 낮춥니다.

  • 혜택 강조형 소재 → 조건이 복잡한 실상품

  • 무료체험 소구 → 실상은 유료 가입 유도

  • 빠른 설치 강조 → 실제로는 설치 대기기간 존재

이런 이슈는 광고 소재와 실제 상담 스크립트 간의 메시지 일치도를 점검해야 개선이 가능합니다.


3. 리드 재활성화 전략이 전환률을 좌우한다

DB 광고 성과는 단순히 하루 이틀의 반응으로 결정되지 않습니다. 첫 응답 실패 리드나 상담 보류 리드를 어떻게 재접촉하느냐에 따라 전체 전환 수치가 크게 바뀔 수 있습니다.

  • 일정 시점 후 문자 리마인드: "상담 원하신 초음파세척기 혜택 다시 안내드립니다"

  • 리마케팅 광고: 유입 리드를 대상으로 다시 보여주는 전용 캠페인

  • 콜백 예약 시스템: 고객이 원하는 시간에 상담 가능하도록 유도

특히 클릭 유도형 문자간편설치 예약 링크 제공은 리드 회복률을 20~30%까지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4. 리드 수 vs 전환 수 괴리, CRM 데이터 분석이 해답

마지막으로, 리드 수와 전환 수의 격차를 줄이려면 CRM 데이터를 활용한 리드 유형별 성과 분석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 유입 경로별 계약률: 카카오광고 vs 네이버클릭 vs 구글디스플레이

  • 상담 템플릿별 이탈률: 템플릿 A와 B의 계약 전환 비교

  • 유입 시점별 계약 리드 소요시간: 상담 후 평균 전환 기간 분석

이런 분석을 통해 “어떤 경로의 리드가 가장 전환 가능성이 높은가?”, “어떤 상담 방식이 효과적인가?” 같은 전환률을 높이는 운영 인사이트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리드 수가 늘어도 전환률이 낮다면, 문제는 광고가 아닌 그 이후 여정에 있습니다. 광고 성과는 유입 이후 여정과 세일즈 운영까지 통합적으로 개선할 때 비로소 완성됩니다. 전환률이 고민이라면, 리드 이후 분석부터 다시 시작해보세요. 실전 컨설팅이 필요하다면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




마케터자격이수

데이터로 대답하고, 성과로 약속합니다.

어느 분야에서도 '절대' 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절대' 값이 없는 마케터로  결과 달성이 아닌 꾸준한 성장을 추구합니다.

댓글

0

전화문의
02-6049-4104
평일 09시~18시(점심시간 12시~13시)
토요일, 일요일 및 공휴일 휴무
Copyright ⓒ 2019-2025 AMPM Globa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