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FA광고의 기초
안녕하세요.
AMPM Global 광고퍼포먼스 3팀
황준호AE 입니다:)
많은 분들이 운영하시는 GFA! 알고는 계시지만 어려운 부분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장형 디스플레이 광고와 성과형 디스플레이광고(GFA)를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보장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CPM 입찰 방식이며 금액을 전부 소진할 때까지 노출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GFA와의 가장 큰 차이 입니다.
일정 이상의 노출이 보장된다는 점에 비례해서 평균적인 단가가 상당히 높고 광고 구좌에 자리가 없다면 진행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성과형 디스플레이(GFA)는 CPC 입찰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실시간 입찰조정을 할 수 있습니다. 보장형 디스플레이 광고에 비해서 저렴한 광고비로 집행이 가능합니다. 반대로 노출이 될 수도 안될 수도 있습니다.
GFA는 다양한 형태로 메인, 기사 등 다양한 곳에 노출되어서 자연스럽게 노출됩니다.
GFA의 경우 세팅시 PC/MO 분리하여 세팅하셔야 합니다.
노출되는 영역 및 소재가 전혀 다릅니다!
구좌를 살펴보면
패밀리 매체 - 메인 서비스통합을 제외한 카페와 밴드 등의 영역
퍼포먼스 네트워크 - 네이버가 아닌 기사지면 등에 노출
앱 - 앱 내에서 메인, 서브 등에 노출
스마트채널 - 띠배너형태 모바일 뉴스, 연예, 스포츠판 최상단에 노출
이정도로 정리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노출 구좌를 알았다면 이제 중요한 것은 어떤 타겟을 잡아서 광고를 진행하느냐가 중요할것 같습니다.
다음시간엔 구좌별 타겟에 관하여 전해드리겠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거나 꿀팁을 알고싶으시다면
언제든 아래 연락처로 문의주시면 무료로 컨설팅 혹은 인사이트 분석 도와 드리겠습니다!
02-6049-4608
감사합니다 :)
- 황준호 마케터 집행사례 보러가기
- [업종별 문제점 및 인사이트 분석(실제 집행중)]
- 보험업종 'B'사 제안사례
- 뷰티 업종 L사 인사이트 분석
- 남성 패션업종 'W'사 문제점 개선
- 법률사무소 업종 H사, 검색광고 문제점 분석
- 악세사리 업종 I 사 문제점 분석 (집행중)
- 건강기능식품 업종 "H"사, 검색광고 문제점 분석 (집행중)
- 건강기능식품 업종 H사, 검색광고 문제점 분석 후(결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