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 광고 매체별 전략 보기 1. meta
안녕하세요 광고컨설팅 1팀 송선영 마케터입니다.
오늘은 뷰티 업종 메타 광고 타겟과 소재 전략에 대해 설명 드리려고 합니다.
해당 전략은 신규 뷰티브랜드 런칭이나 기존 뷰티 브랜드 모두 해당하니 읽어보시고
메타광고 운영에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 타겟 : 논타겟
소재 전략 : 첫번째 논타겟인 경우 초기에 많이 집행하는 타겟입니다.
타겟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신규 타겟을 유입시킬 수 있어 제품의 usp가 담긴
브랜드만의 소재 등을 담은 후킹 문구 소재를 제작해야 합니다.
2. 타겟 : 관심사타겟
소재 전략 : 메타의 상세타겟팅을 활용하여 타겟별 관심사에 맞는 문구나 이미지 소재를 기획합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뷰티 제품으로 관심사에 따라 문구나 이미지를 다르게 합니다.
관심사가 연예인인 경우, '연예인 꿀피부 따라하기 소재 기획'
관심사가 환경인 경우, '친환경으로 제작 된 제품 소개' 의 소재를 기획할 수 있습니다.
즉, 타겟 니즈에 맞는 소재를 기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타겟 : 맞춤타겟 (장바구니, 이탈)
소재 전략 : 장바구니에 담고 이탈 된 타겟을 대상으로 하는 전략이며,
첫구매 할인 및 제한된 할인 혜택 소재를 기획해 관심 고객 대상을 재유입 시키고,
후킹 문구 소재로 전환 유도를 시킬 수 있습니다.
4. 타겟 : 맞춤타겟 (구매)
소재 전략 : 구매 타겟 대상으로 재구매 유도를 위한 쿠폰, 할인 소재를 기획해 재구매를 유도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캠페인별 소재를 기획했다면,
이에 따른 A/B 테스트를 통해 고효율 소재를 발굴하는 최적화 전략도 중요합니다.
최소 2가지 이상의 소재를 기획하고 성과 테스트를 반복적으로 진행하여
고효율 소재를 발굴하고 그룹을 확장시킵니다.
쉽게 말하자면 A/B 테스트는 이상형 월드컵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제로, 2030세대는 SNS에서 뷰티 광고를 많이 접하기 때문에, 메타 광고는 필수적입니다.
저에게 광고문의를 주시는 뷰티 업종 경우 브랜딩 확립 및 전환 매출을 요청 주시면 메타 광고를 추천드립니다.
브랜딩인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노출량이기 때문에 메타 광고와 배너, 영상 소재 등으로 노출량을 높이고,
매출 전환이 목적인 경우, 클릭률 높은 소구점 소재들을 제작하여 전환 매출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뷰티 업종은 보여지는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메타 광고는 반드시 진행하셔야 합니다!
이렇게 뷰티 업종 관련 메타 광고 전략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다음에는 네이버 매체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글을 읽어보신 후 이 부분에 관련하여 궁금하신 점이 있거나 광고 집행 중 어려우신 부분이 있다면
아래 번호로 문의해 주시면 1:1 계정 분석 도와 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