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면 손해, 메타광고 광고비 10% 절약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AMPM 글로벌 광고컨설팅 2팀 황지훈 대리입니다.
오늘은 ~
' 메타광고 광고비 10% 절약하는 방법 '라는 주제로
광고주님들의 돈을 지켜드리겠습니다~!~!
(빨간색 글씨는 꼭 보시길 바래요. 완전 꿀팁 이거든요.)
( 오늘은 많이 중요한 정보를 분홍색으로 마지막쯤에 적어놨으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메타광고는 B2C 와 B2B 관계가 있습니다.
페이스북 광고 구매계정이 개인 계정이라면, B2C 거래로 되어서 부가가치세(VAT)가 발생하는데요,
아래 처럼 말이죠 ... ㅜㅜ 이러면 너무 돈이 아깝잖아요?!
그래서 ! ! !
오늘은 이 B2C를 B2B로 바꿔서 부가세를 시원하게 지워볼거에요!
.
.
.
우선 바쁘신 분들을 위해서 방법만 간추려서 간단히 적어볼게요.
" 메타 비즈니스 -> 설정 -> 광고 계정 설정 -> 결제 설정 -> 비즈니스 정보 -> 수정 "
▼ 여기서 반드시 아래 비즈니스 정보를 꼭 입력해주세요.▼
"
1. 이름
2. 청구지역
3. 사업자 등록번호 BRN
4. 통화 및 시간대
"
이 네가지는 확실하게 꼭 기입을 부탁드립니다!
( ※ 사업자 등록번호 작성 후 부가세 10% 면제 받을 수 있으나 광고비는 매입으로 잡히지 않습니다. )
.
.
.
우선 급한 불은 먼저 끈거 같고 이제 부터는
" 원화 결제 VS 달러화 결제 "
어떤게
더 효율이 좋은지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우선 정답 부터 말하자면 원화나 달러나 효율 차이는 크게 없습니다.
그러나 비용을 청구하는 과정에서 효율이 조금 달라질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결제는 원화로 설정해도 달러로 청구가 되는데요
주식처럼
원화로 설정해도 결제일 당시 그날 환율에 맞춰서 달러로 비용이 나가는 구조에요.
그렇다면 환전이 되면서 환전 수수료가 발생하겠죠.
그럼 비용은 결국
' 실제 광고비 = 광고비 + 환전 수수료 ' 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원화 결제는 아래 내용처럼 환전 수수료가 2번 나갑니다.
1. 원화에서 달러로 바꿀 때 환전 수수료 한번
2. 카드사에서 달러를 다시 원화로 바꾸어 청구할 때 환전 수수료 두 번
줄여 말하면
원화결제 보단 달러화 결제가 좀 더 비용이 적게 나간다는 소리입니다.
그러나 달러화만 고집하는 것도 살짝
단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원화로 CPA (전환당 비용) 이 4만원에서 6만원이 되면 위기를 느끼는 반면
달러로 30$에서 44$로 변경 되었다해도 단위가 적어보여 잘 느끼지 못합니다.
그래서 위에 말한 결론적으로 효율은 비슷하다는게 정리해서 말하면
원화로 하면 환전수수료가 생기나 숫자를 보기 편해 장점이고
달러로 하면 수수료가 적게 나가나 숫자를 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죠
※ 많이 중요한 정보 : 원화에서 달러화 결제로 바꾸려면
60일 동안 광고를 진행 안한 상태에서만 결제 방식을 바꿀 수 있으니
처음 선택할 때 부터 신중히 해주시길 바랍니다.
.
.
.
이번엔 마지막 내용입니다.
메타광고는 해외 결제 플렛폼이라고 말씀드렸죠?
바로
" 해외 결제 캐쉬백 " 지원 카드를 사용하는 것 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이구요
다음시간에도 SNS 광고에 대해서
공부하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정말 너무 추운 날씨에요 다들 패딩입고 다니세요 :)
그리구 오늘하루도 파이팅 입니다 :)
더욱 궁금하신 사항은 아래 참고하시어 연락주세요 :)
지금까지 광고컨설팅 2팀 AE 황지훈 마케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02-6049-4159
hjh98@ampm.co.kr
<마케팅 이슈>
<파워링크 광고 하는법>
3. 파워링크 등록하기? 이거 하나로 끝내요 1편(시리즈)
4. 파워링크 등록하기? 이거 하나로 끝내요 2편(시리즈)
5. "파워링크 광고를 녹여내는 키워드 마술, 성공을 부르는 조합의 비밀!"
<쇼핑검색광고 하는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