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쿠키리스 시대의 도래와 대처방안 1탄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제 코 앞으로 다가온 2024년의 마케팅 트렌드! 쿠키리스(Cookieless)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여러분 쿠키 혹은 쿠키리스(Cookieless)에 대해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쿠키에 대해 들어보신 분들은 많겠지만 왜 쿠키리스 시대의 도래가 마케팅 포인트가 될 수 있는지는 정확히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가오는 2024년 쿠키리스 시대에 대해 한 번 살펴볼까요?
1. 쿠키가 정확히 뭔데?
쿠키는 1994년 6월에 '넷스케이프'의 프로그램 개발자가 고안한 뒤로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는일종의 작은 데이터 파일입니다. 이는 프로그램처럼 소프트웨어 형식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브라우저에서 컴퓨터로 저장되게 되는 거죠. 이 쿠키는 우리가 방문했던 사이트를 재방문 하게 될 때 저장했던 작은 데이터를 내보내게 되고 이 덕분에 우리가 웹사이트를 빠르게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웹페이지 로딩을 기다리기 어려운 한국인이라면 쿠키 이 녀석 정말 좋은 것 같죠? 그런데 이렇게나 좋은 쿠키는 왜 각종 규제의 대상이 되면서 현재는 쿠키리스 사회로 나아가고 있을까요?
<쿠키> 출처: 아이보스
2. 이토록 편한 쿠키 왜 규제의 대상일까
쿠키는 저장된 정보를 이용해 인터넷 사용자가 빠르게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지만 반대로 이것을 위해 웹상에서의 활동 기록을 모두 트래킹 한다는데에 문제가 있습니다. 페이지에 들어온 여러분들이 어떤 버튼을 클릭하고 어떤 상품을 봤는지, 얼마나 체류했고 어떤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고 구매했는지를 전부 알 수 있죠. 일례로 2021년 애플에서 시행된 사파리(Safari) 써드파티 쿠키 수집 제한과 ATT(앱 추적 투명성) 정책으로 메타, 스냅챗 등의 정보 수집 동의율이 10%대에 그치며 타겟팅에 어려움이 생겼습니다. 광고 효율이 떨어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매출도 하락할 수밖에 없었죠!
2024년에는 구글 크롬도 써트파티 쿠키의 수집이 불가능해지면서 개인정보 보호는 더욱 강화되고 이러한 앱 기반의 타겟팅 방식은 더욱 제한될 것입니다. 광고를 하는 사람들 입장에선 고객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타게팅이 어려워질 수 있는 거죠!
<쿠키리스> 출처: Digital Today
많은 사용자들이 무작위로 수집된 개인정보를 바탕으로 한 맞춤광고에 노출되어 왔지만 이는 개인정보를 동의 없이 이용한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고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여론과 인식이 높아지면서 쿠키리스 사회는 이제 막을 수 없는 변화의 흐름이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쿠키리스 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다음 편에서는 이에 대한 대응 방안에 대해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오늘은 이렇게 쿠키와 쿠키리스 시대의 도래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더 자세한 사항이 궁금하시다면 AMPM글로벌 안준형AE를 찾아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