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로스 해킹의 모든 것
안녕하세요.
광고컨설팅 6팀 강윤혜입니다.
그로스 해킹, 많이 들어 보셨죠?
마케터, 스타트업 종사자라면 정말 많이 들어보셨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은 그로스 해킹에 대해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저는 그로스해킹이 무엇인지 막연하게 알고는 있는 수준이었습니다.
저처럼 그로스 해킹의 개념과 활용방안에 대해 정확히 알고 싶고 재미있게 이해하고 싶은 분들에게
그로스해킹 - 데이터와 실험을 통해 성장하는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 (양승화)
을 추천합니다.
그로스 해킹은 미국의 유명 마케터 션 엘리스가 최초로 제안한 개념으로
‘성장할 수 있는 해킹을 하는 것’을 뜻합니다.
핵심은 성장입니다.
성장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서비스나 시장 상황에서 찾아낸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제품/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합니다.
제품/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제품과 시장의 적합성을 확인하여 제품/서비스에 그로스 해킹을 적용할 수 있나. 혹은 그 가치가 있는가’
에서 출발해야 합니다.
AARRR, 지표 활용, 파이프 라인 구축을 통해 제품과 시장의 적합성 확인하고 이를 그로스 해킹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지표 관리를 위해 등장한 AARRR은
사용자의 제품/서비스 이용 흐름에 따라 각 카테고리에서 핵심을 발굴하고
이를 측정 및 개선하는 지표 관리 방법론입니다.
유치(Acquisition), 활성화(Activation), 리텐션(Retention), 수익(Revenue), 추천(Referral)이라는
5개의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유치(Acquisition)는 사용자의 유입을 누락없이 추적하고 각 채널의 성과를 판단하고
활성화(Activation)는 퍼널 분석을 활용하여 서비스/제품의 핵심 가치를 사용하게 만드는 단계입니다.
리텐션(Retention)은 활성화 단계를 통해 핵심 가치를 지속적으로 경험하게 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만들어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수익(Revenue) 단계에선 여러 기준으로 그룹화하고 그룹에 맞는 운영,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추천(Referral)은 서비스를 만족스럽게 이용한 사용자의 추천을 통한 유입을 뜻합니다.
지표를 활용할 때에는 전체적인 관점에서 명확하게 정의하고 활용해야 합니다.
지금 가장 중요한 문제를 뜻하는 OMTM(one metric that matters)은
모두가 공유하는 하나의 목표로 성장, 협력이 중요합니다.
서비스 성장과 직결된 지표로 정말 서비스가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로스 해킹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환경이 만들어져야죠.
클라우드 분석 환경, ETL 자동화 서비스, BI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이 가능합니다.
데이터 파이프라인이란 데이터를 쌓고 필요한 형태로 가공 및 추출하고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과정입니다.
그 과정에 A/B 테스트가 활용됩니다.
A, B안을 비교하여 더 나은 성과를 나타내는 것이 무엇인지 측정하는 종합 대조 실험입니다.
통제 변수, 샘플 크기, 실험 기간 등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합니다.
단순 평균을 비교하거나 과거의 A/B 테스트의 결과를 지나치게 신뢰해서는 안됩니다.
그로스 해킹은 다양한 직군의 사람들이 각자의 전문성을 발휘하면서 협업하는 프로젝트성 업무에 가깝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핵심 지표를 개선하는 것이죠.
그로스 해킹을 잘 하기 위해서는 성장 실험을 할 수 있는 멤버를 보유해야 합니다.
그리고 각 팀은 실험을 설계하고 실험환경을 구축하고 실험 결과를 분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 공통된 목표를 향해 성장하는 것입니다.
이때, 한 조직에 있는 여러 팀이 공통된 목표를 설정 및 정의하고
데이터와 토론을 통해 아이디어를 다듬고 발전시켜야 합니다.
지금까지 ‘그로스 해킹- 데이터 실험을 통해 성장하는 서비스를 만드는 방법’을 기반으로
그로스 해킹이 무엇인지 설명드렸습니다.
이 책을 읽고 그로스 해킹의 개념을 배우고 제가 앞으로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마케터, 광고주로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제품, 서비스가 성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이 책을 반드시 읽어보세요!
답을 찾을 수 있을거에요~
감사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