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전환 당 단가를 낮추는 방법(CPA 개선을 위한 전략)

작성자 김용민
작성일 2024.07.05
조회수 1069

안녕하세요

김용민 마케터입니다. 


오늘은 문의 건에 대한 광고 성과 측정의 기본인

DB전환당 단가를 낮추기 위해

시스템적으로 어떻게 전략을 세울 수 있을지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볼까 합니다. 

 

우선, 동일 비용으로 광고를 집행할 때,

현재를 기준으로 잡고

DB 단가 개선을 하기 위해 확인해볼 수 있는 것은 크게 두 가지

1) 타겟

2) 컨디션

이 있습니다. 

 

먼저 타겟은 노출할 대상이죠. 

이 글에서의 타겟은, 광고를 언제 누구에게 도달시킬 것인지에 대한 보다 넓은 범위에서의 의미를 가집니다. 


A : 하루 24시간, 일주일 내내 노출하는 조건과

B : 잠재DB고객들의 주요 활동 시간대에 노출하는 조건,

C : 문의에 대한 상담이 가능한 업무 시간대에 노출하는 조건으로 각각 진행했을 때


위 3가지 조건을 예시로 두었을 때, 

조건마다 각각 DB 반응율이 다를 수 있습니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광고에서의 타겟이 어떻게 세팅되어 있는지 점검을 하면

DB 전환율에 영향을 줄 수 있겠죠

결과적으로 CPA를 낮출 수 있는 첫 번째 점검은 우리가 노출시켜야 하는 타겟이 어떤 성별/연령이고,

어느 시간대에 주로 의사결정을 하는지를 생각해봐야 합니다. 


두 번째로, 컨디션은

말 그대로 광고가 노출되는 형태인 [소재]의 컨디션과,

광고를 타고 들어가서 처음 보게 되는 [랜딩페이지]의 컨디션을 의미합니다. 


크게 3가지 개념에서의 컨디션을 체크하고 보완해주어야 합니다.


1)     광고 랜딩페이지의 컨디션 개선
랜딩페이지에서는 잠재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친절하게' 제공해줄 수 있어야 하고, 
상세한 문의를 위한 상담 신청이나 DB를 남길 수 있는 환경이 UX UI 기반으로 잘 갖춰져 있는지 자가점검 해볼 수 있습니다.
랜딩 페이지가 설득력을 갖추고 있지 못한다면, 아무리 많은 광고비를 태워서 광고를 진행하더라도 고객의 행동은 미지근할 수 밖에 없고, CPA는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2)     광고 소재 컨디션 개선
랜딩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내용을 압축시켜놓았다고 할 수 있는 광고 소재에 대한 컨디션도 계속해서 의심해봐야 합니다.
소비자가 원하는 소구점이 무엇인지를 먼저 알고 이용해야 하고, 또 다른 광고주들과 비교했을 때 매력이 있어야 눈길을 끌 수 있습니다. 이 때는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를 후킹할 수 있는 깔끔한 이미지와 정제된 표현, 경우에 따라 트렌디한 밈을 이용하는 등의 소재 활용을 통해 꾸준히 관리가 잘 되고 있는 업체의 이미지를 함께 주는 등의 컨디션 개선이 필요한지 점검할 수 있습니다.

3)     광고 소재와 랜딩페이지의 일관성 점검
랜딩페이지는 잘 꾸며 놓았지만 광고 소재에서 명확한 텍스트를 포함하지 않아서 애초에 소재 자체의 매력도가 낮거나, 광고 소재에는 내용이 있지만 랜딩페이지는 이 내용이 생략되어 있거나 연관성이 떨어지게 된다면 클릭 후 이탈되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위 세가지 컨디션을 개선하며 고객의 행동을 분석한다면 전환율과 CPA 개선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기대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