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소비 트렌드 "래빗 점프" 10

작성자 유예원
작성일 2023.07.11
조회수 471

안녕하세요.
AMPM GLOBAL 유예원 마케터 입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올해의 마케팅 트렌드  RABBIT JUMP 에 대해 말씀 드리려고 합니다.

드디어 열 번째! 마지막 시간입니다 ㅎㅎ


01. 래핏 점프 R [ https://inside.ampm.co.kr/bbs/board.php?bo_table=insight&wr_id=2153&ae=u284 ]
02. 래빗 점프 A [ https://inside.ampm.co.kr/bbs/board.php?bo_table=insight&wr_id=2154&ae=u284&sst=wr_num%2Cwr_reply&sop=and&page=2 ]
03. 래빗 점프 B [ https://inside.ampm.co.kr/bbs/board.php?bo_table=insight&wr_id=2178 ]
04. 래빗 점프 B [ https://inside.ampm.co.kr/bbs/board.php?bo_table=insight&wr_id=2179&ae=u284 ]

05. 래빗 점프 I [ https://inside.ampm.co.kr/bbs/board.php?bo_table=insight&wr_id=2191&ae=u284 ] 
06. 래빗 점프 T [ https://inside.ampm.co.kr/bbs/board.php?bo_table=insight&wr_id=2192&ae=u284 ] 


07. 래빗 점프 J [ https://inside.ampm.co.kr/bbs/board.php?bo_table=insight&wr_id=2203 ]
08. 래빗 점프 U [ https://inside.ampm.co.kr/bbs/board.php?bo_table=insight&wr_id=2202&ae=u284&sst=wr_num%2Cwr_reply&sop=and&page=2 ]
09. 래빗 점프 M [ https://inside.ampm.co.kr/bbs/board.php?bo_table=insight&wr_id=2233&ae=u284 ]

-----


그중에서도, 오늘은 P에 해당하는 키워드 #네버랜드 신드롬(P eter Pan and the Neverland Syndrome)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 나이보다 어리게 사는 것이 하나의 미덕인 사회. 나이들기를 거부하는 어른들이 많아지는 트렌드를 ‘네버랜드 신드롬'으로 명명

▪ 피터팬 신드롬: 고립된 채 퇴행하는 부적응 상태 VS 네버랜드 신드롬: 모두가 젊어지고 싶어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가치중립적 용어


그렇다면, 네버랜드의 세 가지 신드롬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Return > Stay > Play


1) Return 
어린 시절로 되돌아 가는 것
Kitch 문화 : 포켓몬 빵 재출시 / 공주 왕관세트의 유행
Kidult의 주류화 
어른들을 위한 서머 캠프
어른아이 패션?"…런웨이와 스트리트를 장악한 '키치' | 스타일M
ㄴ 몇 년 전부터 벌써 키치는 유행하고 있었다?!
(장 폴 고티에 2015 F/W 쿠튀르, 제레미 스캇 2015 F/W, 모스키노 2016 S/S, 구찌 2016 S/S, 샤넬 2016 S/S)

2) Stay

나이가 드는 것을 거부하는 것
[탑건] 영화의 히트 : 30여년 후 여전히 현역으로 활동하는 파일럿
승진 거부, 직무급제 도입 등 연공서열 문화의 파괴 조짐
더 이상 나이로 전문성, 업무 실력 판단 불가
젊은 외모 : 자기 관리의 척도

3) Play
콘텐츠의 연성화 : 요약, 카드 뉴스, 일상툰 등 짧게 요약
놀이화 : 무지출 챌린지, 놀이터 마케팅
캐릭터의 셀럽화 : 시장규모 20조 원대


----

이러한 변화의 배경은


1. 인간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생애 주기의 구조적 변화

어른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평균적인 삶의 모습이 실종됨

단속성의 시대 돌입

상실을 경험할 위험 기회 자체를 축소 -> 굳이 지금의 상황을 바꾸고 싶지 않아 함


2. 네버랜드의 이면

변하지 않는다는 말의 이면에는 성숙하지 못했다

전 국민의 철부지화

부모로부터 독립하지 못한 캥거루 족 증가


----

이에 따른 전망과 시사점을 말씀 드리자면,


청년층의 활기를 극대화하고, 유아의 미성숙 징후를 미리 파악하고 최소화하자!

- 유아스럽고 무책임하고 자기중심주의를 지양하고
청년의 신선함, 도전, 발랄함이 문화에 스며들 수 있도록,

개개인이 사회 전체의 성숙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이렇게 래빗 점프의 마지막 P까지 알려드리는 시간이였습니다.
더욱 유용하고 새로운 트렌드 소식을 들려드릴 수 있는 기회로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

트렌드를 아는 마케터, 유예원 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987828276_1688548668.136.jpg
- 트렌드 코리아 2023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