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헝거마케팅!
작성자 문지은
작성일 2023.12.28
조회수 1138
안녕하세요.
AMPM 글로벌 광고전략제안 1팀
문지은 AE 입니다 ^ ^
평소 매진임박, 곧 마감, 한정수량 등이라는 멘트로 감싸진 영업에 쉽게 넘어가신다면 헝거 마케팅을 통해 구매욕구를 자극당하신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오늘은 이런 헝거 마케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헝거 마케팅이란 시장 진입 초반 의도적으로 정해진 기간동안 한정된 물량만을 제공하며 상품을 구하기 어려운 환경을 구성하게 됩니다. 그렇게 될수록 소비자들이 더 갖고 싶어하는 심리를 이용한 마케팅이라고 볼 수 있죠. 기업은 소비자의 이런 욕구를 끌어내며 구매 전환으로 바로 반응할 수 있도록 자극하는 마케팅을 진행하게 됩니다.
즉, 가지고 싶은 물건을 바로 구매를 할 수 없을 때 더 간절해지는 소비심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상품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것과 동시에 판매율을 높여 상품의 생산과 재로를 효율적으로 관리를 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재고로만 제한하는 것이 아닌 기간과 장소까지 제한하는 것으로 관련된 사례를 다양하게 확인해볼 수 있는데요. 이러한 헝거 마케팅의 유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수의 제한
대표적인 유형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는 개수의 제한은 최근 유행하는 과자, 주류 등을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한정된 물량 제공으로 인하여 해당 상품을 구하기 위한 소비자의 심리를 충분히 자극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기도 하며 공급량이 턱없이 부족한 경우에는 "리셀"로 인하여 제품의 원가의 10배가 넘는 가격으로 거래가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2. 기간의 제한
한정된 기간동안 제공을 하며 고객의 소비 욕구를 자극하는 것입니다. '지금이 아니면 구매불가'라는 자극을 통해서 구매를 불러일으키게 됩니다. 이러한 방법은 상품의 인기가 많아진다고해도 기간을 늘이지 않거나 한시적으로 기간을 늘리는 등의 특징을 나타내게 됩니다.
이 유형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시즌 한정, 연말 한정, 최근에는 라이브쇼핑을 통해 제품을 한시적 판매를 하기도 합니다.
3. 장소의 제한
특정 장소에서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에 대표적인 사례로는 팝업스토어를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특정 브랜드의 상품을 한정된 기간 동안에 특정한 장소에서만 판매하는 환경을 구성하여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헝거 마케팅의 유형을 살펴 보았는데요. 헝거마케팅의 장점과 단점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MZ세대를 공략할 수 있다. VS 소비자들의 피로감을 높이게 될 수 있다.
보다 접근성이 용이할 수 있는 MZ세대 층의 구매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점과 동시에 제한되어있다는 점에 의해 소비자들의 피로감을 높일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브랜드가치의 상승 VS 브랜드 가치의 하락
제약이 있는 구매과정으로 희소가치가 있다고 판단되어 브랜드의 가치가 높아질 수 있지만 이로 인해 높은 가격으로 재판매를 하는 악용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경우 이는 브랜드 가치의 하락으로 나타나게 될 수 있습니다.
헝거마케팅은 이렇게 이루어지는 마케팅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헝거 마케팅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가치를 소비자에게 잘 전달하여야 하며, 소비자가 상술로 느끼지 않도록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