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우리 브랜드가 DSP매체로 광고를 해야 하는게 아닐까?
안녕하세요 AMPM 글로벌 김주현입니다.
DSP매체, DSP광고라고 들어보셨나요?
흔히, 네이버, 메타, 구글 광고는 많이 접해보셨지만,
DSP매체 및 광고는 생소하실 수 도 있습니다.
또는, '우리 브랜드도 DSP로 광고 한번 해볼까?' 하고 생각 중이시라면,
오늘 제가 그 DSP 매체의 모든것에 대해 총.정.리 해드리겠습니다!
DSP란?
DSP는 Demand Side Platform의 약자입니다.
DSP는 광고주(광고를 집행하려는 사람) 측에서 광고를 효율적으로 구매하고 관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플랫폼을 뜻합니다.
TALK) 여러 웹사이트나 앱에 광고를 집행하고 싶을 때, 일일이 각 매체와 계약하거나 따로따로 집행하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DSP를 사용하여 여러 매체의 광고 인벤토리(광고 게재지면)에 한번에 연결하여, 입찰/타겟팅/노출 등을 할 수 있습니다.
DSP 매체란?
- DSP 플랫폼을 통해 광고가 들어가는 다양한 매체나, DSP 시스템 자체를 지칭할 때 씁니다.
DSP 매체의 대표적인 플랫폼은 아래와 같이 있습니다.
국내: 카카오모먼트, SK스토아 DSP, 모비온 DSP, Airbridge DSP
해외: Google Display & Video 360, The Trade Desk, MediaMath 등
* 모비온과 카카오의 관계
모비온은 **인라이플(Enliple)**이라는 회사에서 운영하며,주로 리타겟팅 광고와 퍼포먼스 마케팅에 특화된 DSP(디맨드 사이드 플랫폼)로 알려져 있습니다.
모비온은 카카오의 자회사나 계열사는 아니지만, 카카오와 광고 제휴를 맺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비온은 카카오 비즈보드 광고 상품을 함께 운영하며, 카카오톡의 상단 영역에 광고를 노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이를 통해 모비온 광고주들은 카카오의 방대한 사용자 기반을 활용한 광고 집행이 가능합니다.

1. 타겟팅을 정교하게 설정하기
- - 리타겟팅(사이트 방문자 다시 잡기) 세팅
- - 구체적인 관심사/행동
기반 타겟 설정
- - 1st party
data (내부 보유 고객 데이터)을 활용한 맞춤 타겟팅
예시) 그냥 "20대 여성" 이런 타겟팅보다, "20대 여성 + 최근 7일 안에 내 사이트 장바구니에 담은 사람"을 타겟하면 전환율이 훨씬 올라갑니다.
- TALK) DSP는 데이터 기반 광고입니다. 광범위한 타겟 설정은 돈 낭비가 됩니다.
2. 크리에이티브(광고 소재) 다양화
- - 한 번에 여러 광고 소재(디자인/카피)를 A/B테스트 해보고
- - 반응 좋은 것만 남기고 나머지는 빠르게 중단
- TALK) DSP는 광고 소재별 성과를 빠르게 분석하고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소재를 처음부터 너무 화려하게 1개만 만들지 말고, 5~6개 버전으로 심플하게 시작 → 성과 보고 베스트 소재 리파인하는 게 좋습니다.
3. 입찰 전략(Bid Strategy) 최적화
- - DSP는 보통 CPM(노출당 비용), CPC(클릭당 비용), CPA(전환당 비용) 기준으로 입찰
- TALK) 처음엔 넓게 가져가서 데이터를 쌓고, 이후 목표 CPA 기준 입찰로 전환하는 걸 추천합니다.
- 너무 초반부터 '전환' 목표로만 세팅하면 데이터 부족 때문에 딜리버리가 잘 안 될 수 있어요. 1~2주 정도는 학습기간을 주는 게 좋습니다.
4. 매체별 퍼포먼스 체크하고 예산 재배분
- - 주기적으로 리포트를 보고 효율 좋은 매체에 예산 몰아주기
- - 효율 나쁜 매체는 제외(블랙리스트 설정)
예시) 어떤 앱에서는 클릭률이 높은데 전환이 안 나온다 → 그 앱 제외.
- TALK) DSP는 여러 매체(앱, 웹사이트 등)에 광고를 동시에 쏘는데, 효율 좋은 매체와 안 좋은 매체가 나뉘어요.
5. 빈도수(Frequency Cap) 설정
- - 1일 3회 노출 제한 같은 식으로 빈도수를 조정 가능
- TALK) 같은 사용자한테 광고를 너무 자주 보여주면 광고 피로도가 쌓입니다.
DSP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람”을 타겟팅합니다.
- 기존 배너 광고는 특정 사이트에 무작위로 노출되기 때문에 낭비가 많습니다.
- DSP는 사용자의 행동, 관심사, 성별, 연령, 검색 패턴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해,“우리 제품을 살 가능성이 높은 사람”에게만 광고를 노출합니다.
예)
우리 제품이 민감성 피부를 위한 기능성 세럼이라면,
최근 '피부 트러블', '세럼 추천', '건성용 수분크림' 등을 검색한 20~30대 여성에게만 노출할 수 있습니다.
TALK)
단순한 매체 집행보다는 **DSP(디맨드 사이드 플랫폼)**를 적극 활용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합니다.
오늘은 네이버, 인스타, 페이스북 등의 매체만 생각해보신 분들께
DSP매체에 대해 기본적으로 설명드려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DSP매체에는 뭐가 있는지 업종별로 나눠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읽고 DSP매체 광고에 관심이 생기셨다면,
편하게 문의주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0